서브 헤더

정기검사와 자체점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48회 작성일 25-04-16 10:21

본문

ㅇ 자체점검은 「승강기 안전관리법」 제31조에 따라 관리주체(또는 관리주체와 대행계약을 맺은 유지관리업자)가 스스로 승강기 운행의 안전에 관한 점검을 매월 1회 이상 실시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ㅇ 정기검사는 「승강기 안전관리법」제32조에 따라 자체점검의 실시상태, 승강기 안전검사기준에 대한 충족여부 등을 행정안전부장관(한국승강기안전공단 또는 지정 검사기관이 대행)이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승강기 안전관리법」


제31조(승강기의 자체점검)


① 관리주체는 승강기의 안전에 관한 자체점검(이하 “자체점검”이라 한다)을 월 1회 이상 하고, 그 결과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간 이내에 제73조에 따른 승강기안전종합정보망에 입력하여야 한다


제32조(승강기의 안전검사)


① 관리주체는 승강기에 대하여 행정안전부장관이 실시하는 다음 각 호의 안전검사(이하 “안전검사”라 한다)를 받아야 한다.


1. 정기검사: 설치검사 후 정기적으로 하는 검사. 이 경우 검사주기는 2년 이하로 하되, 다음 각 목의 사항을 고려하여 행 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승강기별로 검사주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2. 수시검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하는 검사


3. 정밀안전검사: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하는 검사. 이 경우 다목에 해당할 때에는 정밀안전검사를 받고, 그 후 3년마다 정기적으로 정밀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980건 1 페이지
자료실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부산엘리베이터 11589 03-27
공지 부산엘리베이터 952 08-22
978 최고관리자 641 04-28
977 최고관리자 646 04-28
976 최고관리자 645 04-28
975 최고관리자 667 04-22
974 최고관리자 658 04-22
973 최고관리자 648 04-18
972 최고관리자 666 04-18
971 최고관리자 652 04-18
열람중 최고관리자 649 04-16
969 최고관리자 652 04-16
968 최고관리자 650 04-16
967 최고관리자 656 04-15
966 최고관리자 656 04-15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