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제어가 설치되어 자체점검 주기가 조정된 승강기는 유지관리 기술인력 1명당 100대를 초과하여 유지관리가 가능한지?
페이지 정보

본문
자체점검 주기와 유지관리 대수는 연관이 없으며, 유지관리대수는 등록한 유지관리업의 기술 인력의 수에 100(또는 90)을 곱한 대수임
○ ‘유지관리’는 「승강기 안전관리법」 제2조제5호에서 ‘설치검사를 받은 승강기가 그 설계에 따른 기능 및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주기적인 점검을 실시하고 부품의 교체 및 수리 등 승강기를 보수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유지관리가 자체점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 또한,「승강기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66조1)에서 월간 유지관리 승강기 대수의 상한을
시‧도에 등록한 유지관리업의 기술인력의 수에 100(또는 90)을 곱한 대수로 규정하고 있음
1) 제66조(유지관리 승강기 대수의 상한) 법 제43조제1항에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월간 유지관리 승강기 대수"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승강기 대수를 말한다.
1. 법 제39조제1항에 따라 등록한 유지관리업의 기술 인력이 유지관리업자의 주된 사무소 또는 사업장이 있는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 또는 특별자치도(이하 "시ㆍ도"라 한다)에 설치된 승강기를 유지관리하는 경우: 기술인력의 수에 100을 곱한 대수
2. 법 제39조제1항에 따라 등록한 유지관리업의 기술인력 중 1명 이상이 유지관리업자의 주된 사무소 또는 사업장이 없는 시ㆍ도에 설치된 승강기를 유지관리하는 경우: 기술인력의 수에 90을 곱한 대수
3. 제조ㆍ수입업자인 유지관리업자가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른 승강기 대수 중 일부를 다른 유지관리업자와 공동으로 유지관리하는 경우: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른 승강기 대수에 50퍼센트를 곱한 대수
○ ‘유지관리’는 「승강기 안전관리법」 제2조제5호에서 ‘설치검사를 받은 승강기가 그 설계에 따른 기능 및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주기적인 점검을 실시하고 부품의 교체 및 수리 등 승강기를 보수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유지관리가 자체점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 또한,「승강기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66조1)에서 월간 유지관리 승강기 대수의 상한을
시‧도에 등록한 유지관리업의 기술인력의 수에 100(또는 90)을 곱한 대수로 규정하고 있음
1) 제66조(유지관리 승강기 대수의 상한) 법 제43조제1항에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월간 유지관리 승강기 대수"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승강기 대수를 말한다.
1. 법 제39조제1항에 따라 등록한 유지관리업의 기술 인력이 유지관리업자의 주된 사무소 또는 사업장이 있는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 또는 특별자치도(이하 "시ㆍ도"라 한다)에 설치된 승강기를 유지관리하는 경우: 기술인력의 수에 100을 곱한 대수
2. 법 제39조제1항에 따라 등록한 유지관리업의 기술인력 중 1명 이상이 유지관리업자의 주된 사무소 또는 사업장이 없는 시ㆍ도에 설치된 승강기를 유지관리하는 경우: 기술인력의 수에 90을 곱한 대수
3. 제조ㆍ수입업자인 유지관리업자가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른 승강기 대수 중 일부를 다른 유지관리업자와 공동으로 유지관리하는 경우: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른 승강기 대수에 50퍼센트를 곱한 대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