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상단네비게이션

대표전화  |  1544-3702  /   영업문의 /  010-9606-5003

페이지 로케이션

좌측네비게이션

Question & Answer

Q & A

Q & A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03-30 15:01 조회396회 댓글0건

본문

1. 과부하감지장치
기능

정격 적재하중을 초과하여 적재(승차)시 경보가 울리고 문이 열림. 해소시까지 문 열고 대기함.

고장시

초과 하중을 감지하지 못하여 과적재로 승강기가 추락할 수 있음. 매다는 장치와 시브의 미끄럼 발생으로 무통제 운전 발생

2. 비상호출버튼 및 비상통화장치
기능

정전시나 고장 등으로 승객이 갇혔을 때 외부와의 연락을 위한 장치

고장시

정전시나 고장시에 외부와 연락이 두절되어 승강기 내부에 갇혀 있어야 됨

3. 비상등
기능

정전시에 승강기 내부에서 5 lux 이상(1시간 동안)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 예비조명장치

고장시

정전으로 승강기내에 갇혔을 때 외부와 통화 할 수 있는 비상호출버튼의 위치 파악이 어려우며, 승객에게 빛 단절로 인한 공포심 유발하여 무리한 탈출을 시도할 수 있음

4. 카문 도어스위치
기능

카문 구동장치에 취부된 카문 안전장치로서 문이 완전히 닫혀야만 카를 출발시키는 장치

고장시

카문이 열린채로 승강기가 움직임

5. 승강장문 잠금장치 및 승강장문 도어스위치
기능

승강장 문 안전장치로서, 승강장 문이 열렸을 때는 카가 운행할 수 없도록 하며, 카가 없는 층에서는 특수한 키가 아니면 외부에서 문을 열수 없도록 잠그는 장치

고장시

승강장의 문이 열린채로 움직임으로써 승강장의 승객이 승강로에 추락하거나 승강기와 벽사이에 승객이 협착될 수 있음

6. 전자-기계 브레이크
기능

전자식으로 운전중에는 항상 개방되어 있고, 정지시에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작동함

고장시

브레이크가 잡힌상태로 움직일 수 있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라이닝의 과다 마모로 무통제 운전발생

7. 완충기
기능

스프링 또는 유체 등을 이용하여 카, 균형추 또는 평형추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동수단

8. 출입문 안전장치(문닫힘안전장치)
기능

승강기 문에 승객 또는 물건이 끼었을 때, 자동으로 다시 열리게 되어있는 장치

고장시

승객이 문 사이에 협착되는 상황 발생됨

9. 추락방지안전장치
기능

과속 또는 매다는 장치가 파단 될 경우 주행안내 레일 상에서 카, 균형추 또는 평형추를 정지시키고 그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계적 장치

고장시

매다는 장치가 절단될 경우 자유 낙하하는 사고 발생됨

10. 과속조절기
기능

엘리베이터가 미리 설정된 속도에 도달할 때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추락방지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장치

고장시

승강기의 이상속도 발생시 추락방지장치 및 안전스위치가 동작하지 못함

11. 리미트 스위치,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기능

승강기가 최상층 이상 및 최하층 이하로 운행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의 초과운행을 방지하여 줌

고장시

승강기가 최상층 및 최하층을 지나쳐서 승강로 상부나 피트에 부딪칠 수 있음

12. 비상구출문
기능

층과 층 사이에 갇힘사고 발생시 승강기 내부의 천장이나 측면에 설치된 구출문으로 승객을 구출할 수 있음

13. 개문출발방지장치
기능

카의 안전한 운행을 좌우하는 구동기 또는 제어시스템의 어떤 하나의 결함으로 인해 승강장문이 잠기지 않고 카문이 닫히지 않은 상태로 카가 승강장으로부터 벗어나는 개문출발을 방지하거나 카를 정지시킬 수 있는 장치 (이 장치는 개문출발을 감지하고, 카를 정지시켜야 하며 정지상태를 유지해야 함)

유압식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 전기식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1 - 12 번과는 동일합니다.

1. 럽처밸브
기능

입력배관이 파손되었을 때 기름의 누설에 의한 카의 하강을 제지하는 장치. 밸브 양단의 압력이 떨어져 설정한 방향으로 설정한 유량이 초과하는 경우에, 유량이 증가하는 것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로를 폐쇄하도록 설계한 밸브

고장시

압력배관 파손시 과속조절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실린더의 자유 낙하로 카내 탑승자의 부상을 초래할 수 있음

2. 릴리프밸브
기능

카의 상승시 유압이 이상하게 증대한 경우에 작동압력(펌프로부터의 토출압력)이상용압력 (적재하중을 작용시켜서 정격속도로 상승중의 작동압력)의 1.4배를 초과하지 않을 때 자동적으로 작동을 개시하고, 작동압력이 상용압력의 1.7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

고장시

압력배관내의 유압 이상증대를 방지하지 못하게 되어 유압호스의 파손 위험이 있음

3. 로프, 체인이완감지장치
기능

로프 및 체인의 늘어짐을 감지함으로써 안전스위치가 동작되어 승강기의 운행을 방지하여 실린더의 추가 하강을 방지함

4. 체크밸브
기능

회로의 압력을 설정치 이하로 조절 제어하는 밸브로 동력이 차단되었을 때, 유압잭내의 기름의 역류에 의한 카의 하강을 제지하는 장치

고장시

승강기가 멈춰 있을 때 기름의 역류로 유압실린더의 하강을 초래하여 승강기가 점점 하강하는 경우가 발생됨

5. 재-착상 보정장치
기능

카의 정지시에 있어서 자연하강을 보정하기 위한 바닥맞춤보정장치(착상 정확도는 ±10㎜ 이내)

고장시

어떠한 원인으로 유압이 감소되어 층 착상이 상이 되었을때 착상을 보정하지 못함

6. 실린더 이탈방지장치
기능

실린더로부터 플런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고장시

실린더로부터 플런저가 이탈되어 승강기가 추락하게 됨

7. 전동기 구동시간 제한장치
기능

전동기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고장시

압력 배관의 막힘 등의 원인으로 전동기가 계속 동작될 경우 모터의 열화로 절연이 파괴됨

8. 수동조작 비상하강 밸브
기능

층간에 고장이나 정전으로 승강기가 멈췄을 경우 이 밸브를 동작시켜 승객을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음

고장시

수동하강 운전 작동 안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탑버튼